[GPT 답변]
"form-data", "x-www-form-urlencoded", 그리고 "raw"는 서버로 HTTP 요청 바디를 인코딩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세 가지 방법입니다.
- "form-data" - 이 인코딩 형식은 일반적으로 바이너리 데이터(파일 같은)와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 양식을 제출할 때 사용됩니다. 바이너리 데이터는 "Content-Disposition" 헤더로 식별되는 각각의 부분으로써 요청 바디에 별도로 전송됩니다.
- "x-www-form-urlencoded" - 이 인코딩 형식은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간단한 텍스트 데이터를 제출할 때 사용됩니다. 데이터는 "&" 기호로 구분되는 키-값 쌍으로 인코딩되고, 각 키와 값은 "=" 기호로 구분됩니다.
- "raw" - 이 인코딩 형식은 요청 바디에서 데이터를 원시 형식으로 전송합니다. 서버는 이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, 주로 JSON 또는 XML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, "form-data"는 파일 업로드와 같은 복잡한 작업에 적합하지만 "x-www-form-urlencoded"는 폼 데이터를 전송하는 간단한 경우에 적합합니다. "raw"는 서버가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, 주로 JSON 또는 XML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. 사용하려는 용도에 맞는 인코딩 형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[스택오버 플로우 답변]
'프로그래밍 > 개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발지식] 웹훅(Webhook)이란? (0) | 2022.01.03 |
---|---|
[개발지식] TLS란? (0) | 2021.12.29 |
[git]그림으로 한방에 이해하기 (0) | 2021.12.03 |
[개발지식] 어써션(Assertion) 이란? (0) | 2021.10.23 |
[개발지식] APIM이란? (0) | 2021.10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