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주 사용한다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며, 추후에 하나씩 설명을 달 예정이다
빈도 : 높음
@Autowired
@Controller
@RestController
@RequestMapping
@RequestBody
@RequestParam
@ResponseBody
@Service
@Transactional
@Getter, @Setter
@Mapper
@Override
@JsonProperty
@Value
@PostMapping
@GetMapping
@Component : 개발자가 만든 클래스를 빈에 등록해주어 new와 같은 생성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빈에 등록되어있어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다. 싱글톤패턴이기 때문에 같은 클래스명으로 등록할때는 @Component("XXXX")으로 정의하고, 사용할땐 @Qualifier("XXXX")으로 사용하면 된다
빈도 : 보통
@Mock : Mock 객체를 자동적으로 생성해주는 어노테이션
@InjectMocks: 생성된 Mock 객체를 사용하고 있는 객체에게 주입한다는 어노테이션
@Required
@Inject
@PathVariable
@Repository
@NoArgsConstructor
@AllArgsConstructor
@ToString
@Qualifier
@ToString
출처
(1) medium.com/@aaaalpooo/%EB%A7%8E%EC%9D%B4-%EC%93%B0%EB%8A%94-spring-framework-annotation-%EC%A0%95%EB%A6%AC-summary-of-annotations-frequently-used-in-spring-framework-935e1c1a4877
(2) https://velog.io/@kdhyo/JavaTransactional-Annotation-%EC%95%8C%EA%B3%A0-%EC%93%B0%EC%9E%90-26her30h
(3) https://www.daleseo.com/lombok-popular-annotations/
'프로그래밍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CORS 설정하기 (0) | 2021.11.17 |
---|---|
[Spring] springboot mybatis 연동 (0) | 2021.10.31 |
[Spring]필터(Filter)란 무엇인가 (0) | 2021.10.14 |
[Spring] AOP란? (0) | 2021.10.13 |
[Spring] New로 생성한 Instance에서 Bean이 필요할 때 @Autowired 대신 Bean 주입 받는 방법(Spring boot에서 ApplicationContext를 가져와서 넣어버리기) (0) | 2021.10.06 |